본문 바로가기

만화를 그리다/[어린이]학습 만화

(40)
[만화]행복이란? 본 만화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중학생 청소년을 위해 만든 '계절학기용 인성교육 교과서'에 실린 만화로 '행복'의 정의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만화로 보는 우리말]거덜나다 거덜은 조선시대에 관청인 사복시에서 말을 맡아보던 하인을 가리키는 말이었습니다. 거덜이 하는 일은 궁중의 행차가 있을 때 앞길을 틔우는 것이었습니다. 낮은 신분이지만 지체 높은 양반을 모시다 보니 거덜은 자연히 우쭐거리며 몸을 흔들게 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사람이 몸을 흔..
[만화로 보는 우리말]부랴부랴 '부랴부랴'는 '불이야불이야'가 줄여서 된 말로써 매우 급하게 서두르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만화로 보는 우리말]알토란같다 ‘알토란같다’라는 말은 부실한 데가 없이 옹골차고 단단하다는 뜻입니다. ‘토란(土卵)’은 ‘흙 속에 알같이 둥근 뿌리를 만든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 토란의 너저분한 털을 다듬어서 깨끗하게 만든 것을 ‘알토란’이라고 합니다.
[만화로 보는 우리말]천둥벌거숭이 ‘천둥벌거숭이’는 철없이 두려운 줄 모르고 함부로 덤벙거리거나 날뛰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만화로 보는 우리말]깨가 쏟아지다 깨는 추수할 때 살짝 털기만 해도 깨 주머니에서 깨가 쏟아집니다. '깨가 쏟아지다'라는 표현은 깨를 털 때마다 깨 쏟아지는 재미가 특별해서 나온 말로써 몹시 아기자기하고 재미가 날 때 쓰는 말입니다.
[만화로 보는 우리말]부질없다 '부질없다'는 대수롭지 아니하거나 쓸모가 없다는 말로, 본뜻은 불질을 하지 않았다는 뜻을 가진 말입니다.
5학년 2학기 <과학> [물체의 속력] 속력은 이동거리 ÷ 걸린시간으로 구합니다. 예를 들어 5초에 100 m를 가는 물체의 속력은100m ÷ 5초= 20(m/s)가 됩니다. m/s로 표시된 속력을 km/h로 표현하려면 바꾸려면 아주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5 m/s 를 km/h로 바꾸고 싶다면 5×3.6해서 18 km/h가 됩니다. 반대로 18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