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느낌을 나누다/[여행]그곳엔 뭐가 있을까

제주 한림공원

제주도 서쪽지역  제주시 한림읍에 위치한 한림공(입장료 9,000원).

이 곳은 1971년 불모지와 다름없었는데 한 애향민의 노력으로 공원이 조성되었다.

공원 내에는 아열대 식물원, 야자수길, 산야초원, 협재굴과 쌍용굴, 석˙분재원, 재암민속마을, 재암수석관, 사파리조류원, 연못정원 등 여러가지 테마 공원이 드넓게 펼쳐져 있다.

 

■ 아열대 식물원

아열대 식물원에는 식물뿐만 아니라 아열대 파충류도 만나볼 수 있다.

대서양의 카나리섬이 원산지인 대표적인 야자나무 카나리엔시스.

아라비아커피로 유명한 아라비아 반도 예맨에 서식하는 커피나무.

 남부 아프리카 탄자니아의 고온지역에 사는 블랙스롯 왕도마뱀으로 몸길이가 1.5m까지 자라는 매우 큰 도마뱀이다.

인도네시아에 사는 퀸스 왕도마뱀인데 나무타기를 좋아한다. 

동남아시아의 열대우림이나 습지에서 사는 타이거 레틱이라 불리는 비단뱀인데, 짙은 노란색에 그물 모양의 줄무늬가 호랑이를 연상시킨다. 몸길이 3~6m까지 자라며 독이 없어 사람에게 위험하지는 않다.

열대에서 자라는 과일나무 파파야. 열매는 날로 먹거나 잼, 설탕 등에 절여 과자로 먹는다.

나무에서 나는 액체는 고기를 부드럽게 하는 음식 재료로 쓰이며, 씨앗은 독특한 맛이 있어 향신료로 사용된다.

인도와 동남아시아에 사는 알비노머비즈라 불리는 비단뱀. 멜라닌 색소 부족으로 밝은 노란색과 흰색을 띈다.

아프리카 사바나 지역에 서식하는 거북으로 레오파드 불리며 등껍질이 유난히 봉긋하다.

동남아 우림지역에 서식하는 왕도마뱀으로 워터라 불리며 몸길이 2~3m까지 자란다.

블루텅 스킨크 도마뱀의 뒷모습. 오스트리아에 서식하며 적에게 파란색 혀로 위협한다.

나일 도마뱀. 남아프리카의 사막지역을 제외한 지역에 서식하며 1.5~2m까지 자란다.

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 등지에 사는 카펫이라 불리는 비단뱀. 몸길이 2~4m이며 몸무게 15kg까지 나간다.

남미, 아프리카, 동남아 지역에 서식하는 비푸카툼 박쥐란.

사슴뿔 모양의 잎이 박쥐처럼 매달려 있다고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도마뱀 그린 워터 드래곤은 중국 동남아 지역에 서식하며 몸통보다 긴 꼬리를 가지고 있다.

남아프리카에 사는 레드테일 보아뱀. 붉은색 꼬리가 아름답다.

서유럽에 서식하는 육지거북 헤르만.

거북과 사촌으로 중국, 일본, 홍콩,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남생이.

아메리카, 멕시코 등에서 활동하는 그린 이구아나.

남아메리카 열대 우림 지역에서 주로 나무가지 위에서 활동하는 보아뱀 에메랄드 트리.

열대 사막지역의 대표 식물 선인장(위)과 무늬 천수란(아래).

아프리카 사막지역에 사는 파충류 수단 플레이트 리자드.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거북 레드풋.

오스트레일리아의 건조하고 돌이 많은 지역에 사는 비어디드 드레곤.

목 주변의 바늘같은 비늘이 있어 수염처럼 보인다.

 

■ 야자수길

한림공원 입구에 있는 야자수길은 야자수와 선인장으로 조성되어 이국적인 정취를 풍긴다.

 

■ 산야초원

산야초원은 야생화와 제주특산식물, 생태연못이 어우러진 한림공원 테마공원 중 하나다.

호젓한 오솔길에 핀 산수유. 

 생태연못에 있는 물허벅 제주여인상 조각.

 오솔길 옆에 피어난 털산 개나리와 쑥부쟁이, 그리고 월계수

 

 

■ 용암동굴(협재동굴, 쌍용동굴)

한라산 화산이 폭발하면서 용암이 흘러내려 형성된 검은색의 용암동굴의 천장과 벽면으로 스며드는 석회수로 인하여 황금빛 석회동굴로 변해가는 2차원적 복합동굴이다.

용암동굴이면서도 석회동굴에서만 볼 수 있는 석순과 종유석들이 자라고 있어 학술적인 가치가 커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제236호로 지정 되었다.

협재동굴 내부 모습이다.

동굴안에 있는 일명 '살아있는 돌'이다.

설명에 의하면 이 돌은 천장에서 떨어진 것인데, 천장의 구멍은 석회수가 스며들어 점점 작아지고 떨어진 돌 위에는 석회수가 떨어져 굳어지면서 점점 커지고 있다고 한다.

협재 동굴을 나와 쌍용동굴로 가는 길에는 돌을 포개놓은 두상석들이 많이 보인다.

 쌍용동굴 내부다.

쌍용동굴에는 명의 진좌수 전설이 전해진다. 

진좌수가 소년일 때 소녀로 둔갑한 여우를 만나 여우의 구슬을 삼킨 후 명의가 되었다는 전설이 있는데, 그 모습을 표현해 놓은 것이다.

 

 

■ 석˙분재원

분재와 돌을 소재로 하여 구성된 테마공원이다.

  

 

 

■ 재암민속촌

제주의 전통 초가의 보존을 위해 제주도 중산간지역에 있던 실제 초가를 원형 그대로 복원해 놓았다.

 

■ 사파리조류원

원앙, 공작, 앵무새, 타조, 꿩 등 다양한 새들을 볼 수 있다.

 

■ 연못정원

천연 용암 암반위에 자연 지형을 최대한 살려서 환경친화적으로 조성하였으며, 시원한 인공폭포와 더불어 연꽃과 수련 등 다양한 수생식물도 감상할 수 있다.

한림공원은 여러가지 테마 공원이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어 연인끼리 오솔길을 걸으며 데이트하기에 좋다.

중간중간 휴식을 할 수 있는 매점과 식당 그리고 기념품점까지 갖춰져 있어 편리성도 있다.

공원 전체를 찬찬히 둘러 보려면 3시간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